728x90
반응형
SMALL
반응형
SMALL
병원에서 조제한 약은 보통 식전 30분, 식후 30분에 먹으라고 말하거나 표시한다.
왜 이렇게 시간을 정해 놓은 것일까?
그것은 바로 약 성분이 몸에 들어갔을 때 큰 효과를 내게 하기 위해서다.
약 성분은 혈액에 퍼져 적당한 혈중농도를 유지할 때 효력이 있기 때문이다.
약 성분이 몸에 들어가 혈중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시간 간격은 5~6시간으로,
사람이 식사를 하는 간격과 비슷하다.
그래서 식사 시간에 맞춰 약을 복용하게 되는데, 또 다른 이유로는 약을 먹는 것를 잊지 않고 먹게 하기 위해서기도 하다.
지용성 비타민(A,D,E,K)제를 포함한 몇몇 약은 음식의 지방분에 녹아 흡수되기 때문에
식사를 하고 난 뒤에 약을 먹는 것이 약효를 더욱 높인다.
그러나 음식물과 같이 먹으면 흡수력이 떨어지는 약들이 많고,
음식과 섞여 소화관 벽을 자극하는 약도 있으므로 식후 30분에 먹으라고 한 약은 반드시 시간을 맞춰 먹는 것이 몸에 좋다.
728x90
반응형
LIST
'토막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토막상식) 목에 가시가 걸렸을 때 대처하는 방법은 무엇일까? (0) | 2022.11.10 |
---|---|
(토막상식) 땀을 많이 흘리고 나서 얼마만큼의 물을 마셔야 몸에 좋을까? (0) | 2022.11.09 |
(토막상식) 설사를 멈추는 방법은 무엇일까? (0) | 2022.11.07 |
(토막상식) 치통이 심할 때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? (0) | 2022.11.06 |
(토막상식) 햇볕에 살이 탔을때 대처법은 무엇일까? (0) | 2022.11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