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반응형
SMALL
주자가 홀을 기준 타수보다 하나 더 많은 타로 완성 시키는 것을 버기리고 하는데, 이 말의 뜻은
<콜로널 버기(colonel bogey)> 라는 노래에서 유래되었다.
이 노래는 최소의 타수로 한 홀을 완성시켰던 어떤 골퍼와 밀접한 콜로널 버기라는 이름으로써 영국에서 인기있는
노래가 되었다고 한다.
미국의 골퍼들은 '파(par)' 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했고 기준 타수보다 하나 많은 것을 '버기(bogey)' 라고 했다.
운 좋게 기준타보다 한 타를 덜 쳐서 홀을 완성시키면 '버디(birdie)' 라고 한다.
1900년대 초에 애틀랜타 시 컨트리 클럽에서 3번의 샷으로 4홀을 완성시킨 한 골퍼(애브너 스미스)가 "이것이 바로 버디
다!"
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한다.
그 당시 버드(bird)는 진귀함, 진품이라는 말의 속어였다.
이 외에도 이글이나 알바트로스 같은 단어도 존재한다.
728x90
반응형
LIST
'토막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토막상식) 젖은 장갑과 양말이 잘 벗겨지지 않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? (0) | 2022.06.09 |
---|---|
(토막상식) 때에 따라서 어떤 식으로 선글라스를 써야 하는 걸까? (0) | 2022.06.08 |
(토막상식) 골프공의 모양은 왜 올록볼록할까? (0) | 2022.06.06 |
(토막상식) 물과 기름은 어쨰서 섞이지 않는 걸까? (0) | 2022.06.03 |
(토막상식) 오래 된 기름은 어떻게 버려야 하는 걸까? (0) | 2022.06.02 |
댓글